엎드려 흘리고 있는 시인의 눈물
우정연(시인)
별일 없지?
다음 주에 네가 좋아하는 가을하늘
함께 보자
대학원 다니는 손자가 연구비를 탔단다
네가 보낸 국화화분이 나에게 말을 한다
밥 잘 먹어라 건강이 최고다
이틀 전에 전화를 걸어온 사람
갑자기 쓰러져
추모공원 화장장
유리벽 안쪽 벽지 위에
유골로 놓여 있다
저 유골과 나 사이의 간격은
한 발짝이 될까 말까 한데
수만 리 저편 꿈속처럼 아련하다
아무리 눈물을 흘리며 통곡해도
유골을 에워싼 적막이 너무 깊다
-「삶과 죽음의 경계는 한 발짝」전문
차옥혜 시인의 언어에서는 그물코가 잘 짜인 직물처럼, 다양한 자연 현상과 우주 만물을 두루 아우르는 정교함이 두드러진다. 길, 햇살, 나무, 참깨, 직박구리 등을 다채로운 각도에서 따뜻하게 넘나드는 시선을 넘어 비정규직 노동자, 김구 선생, 아마존, 미세먼지까지 점차적으로 넓혀가는 사유의 확장성이 엿보인다. 그러나 그 중심엔 항상 사물의 본질을 꿰뚫는 예리한 시선과 사랑이 있고 자연 속에서 더불어 인간 중심의 세상이 펼쳐지기를 꿈꾼다.
문학평론가 이숭원 교수께서는 해설에서 밝히시길 “시인은 자연을 통해 자신의 정서와 사상을 표현하는 데 주력해 왔으니” “자연은 동일화의 맥락 속에 시인의 이상을 대신 실현하는 상징의 사물로 나타난다.”고 하였다. 이렇듯 시인은 자연 속에서 참깨를 털며 새집을 지어 주고 주목나무의 부탁을 들어주기도 하면서 신비를 찾아가는 『말의 순례자』임을 기뻐하며 충만한 삶을 실천하는 중이다.
하늘 높은 어느 가을날, 다음 주에 만나자는 전화 약속을 한 친구가 있다. 시인은 손자가 연구비를 타서 할머니께 보내준 용돈을 가장 친하고 귀한 친구와 함께 밥 먹고 차 마시며 가을을 품어보자 기대에 부풀었을 것이다. 그런 친구가 황망하게도 이틀 만에 죽어 유골로 안치되어 있는 모습을 상상해 보라. 해방둥이 시인이 이 나이쯤 살아오는 동안 어찌 별별 일들을 다 보고, 겪고, 느끼지 않았을 것인가. 삶과 죽음이 비록 한 발 차이로 경계가 없다고 하지만, 이런 이별은 참으로 억장 무너지는, 만나고 싶지 않은 이별일 것이다. 귀한 친구를 잃고 눈물과 통곡도 사치인 듯 깊은 적막 속에 들어가 버린 시인의 심정이 마치 싯다르타 태자가 사방의 문으로 나가, 중생이 겪는 생로병사의 고통을 보고 무상함을 깨달아 출가를 결심한 ‘사문유관상’을 떠올리게 한다. 시인은 삶이란 지속적으로 생성되고 소멸되는 생과 사가 어우러져 돌아가고 있는 것으로 여기가 거기고 거기가 여기인 경계 없는 경계를 한 발짝이라 생각한다.
시인은 1945년 전주 태생으로 경희대학교 영문과와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문예창작과를 졸업했다. 시집으로 『깊고 먼 그 이름』 외 12권으로 이번에 『말의 순례자』를 발간하였다. 시인은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하였고 근래에 산림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시인의 시집을 차분히 읽노라면 후반부로 갈수록 가슴이 먹먹해짐을 느낀다.
“동백꽃이 활짝 피기도 전에/ 칼바람에 눈밭에 떨어져 떨어져/ 땅이 울고 하늘도 울고 있는 곳/ 여기는 어디인가”
비정규직 노동자로 일을 하다 죽음에 이르게 된 김용균씨의 죽움을 쓴 위 시「 여기는 어디인가」에서도 그렇듯이 죽음은 늘 예고 없이 찾아든다. 시인이 추구하는 이상은 높은데 바닥에 납작 엎드려 흘리고 있는 시인의 눈물이 얼룩진, 이 시의 마지막 연에서 필자는 기어이 눈물을 훔칠 수밖에 없었다.
긍정적인 생의 자세와 여린 심성, 섬세함이 함께하는 시인의 가슴이 비정규직 김용균의 어머니에게 사과하고, 직박구리 새끼들에게 사과하고, 배기온실가스로 무너져 내리는 빙하에게도 사과하고, 플라스틱에 죽은 향유고래에게 사과하고, 아마존 열대 우림에게도 사과를 하면서 산비탈에 선 나무들에게는 끗끗하게 잘 살라고, 행동하는 소녀 시인 그레타 툰베리에게는 잘살고 있다고 격려의 큰 박수를 보내는 것이다. 시인께서는 이후의 생도 한순간 허실 없이 끗끗하게 한 방향으로 걸어가리라는 생각이다.
<문학과창작, 2021년 여름호, 281-283쪽>
'시집의 해설,서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접 농사를 짓고 노래한 팔순 시인의 사계절 -안준철(시인) (0) | 2022.06.20 |
---|---|
『호밀의 노래』해설 -김종회(문학평론가, 전 경희대 교수) (0) | 2022.06.01 |
『말의 순례자』서평 -정유준(시인) (0) | 2021.05.05 |
『말의 순례자』 표지서평 - 이근배 (0) | 2021.02.02 |
『말의 순례자』 해설 -이숭원(李崇源) (0) | 2021.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