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달의 작품/

신덕룡(평론가)

 

차옥혜의 눈이 오지 않는다(동서문학 2)는 일상성이 단절된 데서 오는 안타까움을 노래하고 있다. 일상성의 단절은 곧 자연스러움의 상실을 의미한다. 시인은 눈이 오지 않는다는 사실을 처음과 중간, 끝 부분에서의 반복을 통해 일상성이 단절된 상황을 독자에게 환기시킨다. 겨울이 겨울답기 위해선 눈이 와야 함을 작중 화자를 통해 강조하고 있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겨울은 상실의 계절이기 때문이다.

 

여름내 키운 나뭇잎을/다 빼앗긴/오동나무/마디마디 상처를 어루만질/눈이 오지 않는다/가을 난장바람에 끌려가며/나뭇잎이 남기고 간/통곡소리를 잠재울/눈이 오지 않는다(눈이오지 않는다2)

여기서 빼앗긴/끌려가며’, ‘상처/통곡소리가 주는 어감은 비극적이다. 여름이 가고 가을이 오면 여름내 무성했던 나뭇잎이 낙엽이 되어 모체에서 떨어져나감은 자연스런 생명현상이라 할 것이다. 그런데 화자는 자연스런 생명현상을 빼앗김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순리를 역리로 받아들이는 화자의 생에 대한 비극적 인식은 삶의 메마름에서 기인하고 있다. 그렇기에 벌거숭이의 뜰에 사랑과 위안을 가져다 줄 눈을 안타깝게 기대하고 있다. 기다림과 안타까움의 소망은 꿈에서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꿈과 현실 어디에서도 소망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일상성의 단절은 그만큼 깊은 좌절과 절망적인 상황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상황은 눈이 오지 않음으로 야기된 것이지만, 이 시의 내면에는 삶에 대한 비극적 인식이 담겨져 있음을 포착하게 된다. 꿈과 현실어디에서도 메마름의 모습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삶에 대한 비극적 인식이 좌절과 절망으로 끝나지 않고 있음은 이 시의 전편에 흐르고 있는 안타까운 소망의 모습에서 찾을 수 있다. 비극적 상황을 반복해서 보여주면서도 비극을 비극으로 떨어뜨리지 않으려는 안타까운 몸짓은 풍요로움의 회복을 위한 준비이고, 삶에 대한 무한한 사랑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동서문학 19893337-338쪽 수록>

 

'시에 대한 비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부」 - 전기철  (0) 2006.02.28
「비」 - 한광구  (0) 2006.02.28
「詩」 - 김광림  (0) 2006.01.28
「목련」 - 오세영  (0) 2006.01.27
「가을나무」 외 1편 - 김규동ㆍ이근배  (0) 2006.01.19
Posted by 차옥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