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미가 운다 시인이 운다

박찬일(시인/평론가)

 

매미가 운다

 

 

우렁우렁 산을 무너뜨리고 있는

굴삭기와 싸우며

매미가 운다

 

매미가 울어

곤두박질치는 나무에게

겁에 질린 풀잎에게

무너지는 흙더미에게

다가간다 함께 한다

 

매미가 운다

뙤약볕을 흔들며

굴삭기 소리를 깨뜨리며

굴삭기 소리에 혼절한 새들을 깨우며

매미가 운다

 

우는 매미여 시인이여

차옥혜(1945- ) [매미가 운다]

 

매미가 운다. 시인이 운다. 산을 무너뜨리고 있는 굴삭기 소리에 맞서서 매미가 운다. 시인이 운다. 매미가 운다. 시인이 운다. 곤두박질치는 나무를 위해, 겁에 질린 풀잎을 위해, 무너지는 흙더미를 위해, 혼절한 새들을 위해 매미가 운다. 시인이 운다. 혼신의 힘을 다해 운다.

두 개의 알레고리. 첫째,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이용의 대상으로만 간주하는 도구적 인간 homo faber 에 대한, 혹은 도구적 인간이 만든 현대문명에 대한 알레고리로서 굴삭기, 굴삭기 소리. 둘째, 이러한 굴삭기, 굴삭기 소리에 맞서 싸우는 시인, 혹은 시인의 사명에 대한 알레고리로서 매미, 매미의 울음소리. 언제 궁핍한 시대가 아닌 때가 있었던가. 언제 궁핍한 시대의 시인이 울지 않은 때가 있었던가.

중심과 함께 하는 자는 시인이 아니다. ‘과 함께 하는 자는 시인이 아니다. 변방에 있는 자가 시인이다. 반대하는 숙명을 갖고 태어난 자가 시인이다. 나무, 풀잎, 흙더미, 새 등 연약한 것들과 함께 하는 자가 시인이다. 굴삭기 소리와 매미 울음소리를 대비시켜 시인의 사명을 새삼스럽게 환기해낸 매우 탁월한 시!

 

<군포시민신문 2001.6.5., 16쪽 수록>

 

 

  

    생태주의 문학 시론試論

박찬일(시인)

 

 

댐 건설 및 도로 건설 등은 자연에 대한 인간 우위를, 혹은 다른 생명에 대한 인간 우위를, 다른 말로 하면 인간중심주의의 폐해를, 가장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예. 댐과 도로 건설로 얼마나 많은 자연이 훼손되었는가. 식물들이 멸종되었는가. 얼마나 많은 동물들이 죽거나 자신들의 터전에서 쫒겨났는가. 다음은 차옥혜 시인의 매미가 운다라는 시.

 

우렁우렁 산을 무너뜨리고 있는

굴삭기와 싸우며

매미가 운다

매미가 울어

곤두박질치는 나무에게

겁에 질린 풀잎에게

무너지는 흙더미에게

다가간다 함께 한다

 

매미는 울어

굴삭기에 맞서

굴삭기 소리에 떠서

굴삭기 소리를 치받는다

 

매미가 운다

뙤약볕을 흔들며

굴삭기 소리를 깨뜨리며

굴삭기 소리에 혼절한 새들을 깨우며

매미가 운다

우는 매미여 시인이여

 

노만 커슨즈는 인간들이 국가에 귀속되고 국가 구성원들인간들의 생존을 염려하는 일을 떠맡게 된 후, 인간들은 스스로를 보존본능Erhaltungsinstinkt을 상실하게 되었다고 말한다. 즉 오늘날의 인간들은 인류의 일에 직접 마음을 쓰지 못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국가는 아스팔트, 댐을 만드는 국가이고, 핵폭탄을 만드는 국가이나, 개개인은 그것이 인류의 환경 및 생존에 끼치는 영향을 의식하지 못한다는 것. 그래서 커슨즈는 개인이 생존본능을 다시 되찾아와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국가보다 인류를 우선적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두 개의 알레고리. 첫째, 존재하는 모든 것들을 이용의 대상으로만 간주하는 도구적 인간homo faber에 대한, 혹은 도구적 인간이 만든 현대문명에 대한 알레고리로서 굴삭기, 굴삭기 소리. 둘째, 이러한 굴삭기, 굴삭기 소리에 맞서 싸우는 시인, 혹은 시인의 사명에 대한 알레고리로서 매미, 매미의 울음소리. 언제 궁핍한 시대가 아닌 때가 있었는가. 언제 궁핍한 시대의 시인이 아닌 때가 있었던가. 언제 궁핍한 시대의 시인이 울지 않은 때가 있었던가.

 

<시민문학(군포문인협회) 2002년 여름호 25-26쪽 수록>

  

Posted by 차옥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