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의 감동은 어디에서 오는가
이승하
21세기가 된 지도 1년이 지났다. 우리 시는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 것일까. 문예지가 쏟아져 나오고 있지만 일반 독자는 좋은 시가 없다며 문예지와 시집을 외면하고 있다. 간혹 큰 서점에 가보면 시집 코너는 늘 한산하고, 간혹 손님이 계산대에 갖고 가는 시집은 그 이름이 예나 지금이나 한결같이 '베스트셀러 시집'을 펴내는 시인의 시집이다. 문학평론가에게 부과된 의무가 있다면 매달 매 계절 쏟아져 나오는 문예지에서 '좋은 시'를 찾아내어 제대로 평가해주는 일일 것이다. 그런데 그 시인의 등단 지면․발표 지면․안면․학연․지연 등을 염두에 두지 않고 공정한 입장에 서서 평가하기란 기실 얼마나 어려운 일인가. 옛 사람의 지혜로운 말씀에 귀를 기울이면서 나 자신을 "맑고 곧은 이념의 푯대 끝"에 매다는 수밖에, 다른 방법이 없다.
시에는 두 가지 어려움이 있다. 탁자(琢字)와 연구(鍊句)에 숙달하는 일과 사물을 본뜨고 정서를 묘사하는 미묘한 일들이 어려운 것이 아니다. 오직 자연스러움이 첫째의 어려움이요, 깨끗한 여운을 남기는 것이 두 번째 어려움이다.
정약용이 {與猶堂全書}에서 한 말이다. 다산은 시어를 조탁하고 시구를 연마하는 것이나, 사물과 정서를 잘 묘사하는 일이야 웬만큼 수련하면 가능하다고 보았다. 좋은 시 쓰기가 어려운 것은 지나친 꾸밈새로 말미암아 자연스러움에서 자꾸 벗어나기 때문이며, 깨끗한 여운을 남기기가 결코 쉽지 않다는 것일 터인데, 공감이 가는 말이다. 서거정이 {東人詩話}에서 한 다음과 같은 말도 가슴에 새기고 있다. "시는 마땅히 기절(氣節)을 앞세우고 문조(文藻)는 뒤로 해야 한다." 시인의 기개와 절조, 즉 시정신이 중요한 것이지 언어 조형력, 즉 기교가 그에 앞서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이것은 동양의 시학이다.
서구의 상징주의와 주지주의,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세례를 받은 이후 우리 시는 '정신의 시'를 버리고 '기교의 시'를 열심히 배우고 학습했던 것이 아닐까. 정말 좋은 시는 양자의 선미한 결합, 다시 말해 기법에 있어서는 천의무봉(天衣無縫)이요 정신에 있어서는 사무사(思無邪)의 경지에 이른 시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편 생각해보면 보들레르의 만물조응(萬物照應)이나 랭보의 견자(見者)의 시학이 오로지 기교에만 국한된 시론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보들레르는 시인의 존재 의의에 대해서, 특히 사물에 대한 감각과 사물과의 교감에 대해서 우리에게 많은 가르침을 주었다. 랭보는 보편적 영혼에 이르기 위한 착종의 감각을 중시한 견자의 시학을 들려주었다. 글쎄, 정신의 깊이가 아니라면 감각의 눈부심, 이미지의 떨림을 전해주는 시가 나와야 될 터인데 그런 시를 만나기란 그리 쉽지 않다.
6ㆍ25전쟁이 터진 가을
12살 오빠는 시골 큰아버지 집 더부살이였는데
끼니때마다 큰아버지가 밥 많이 먹는다고 소리쳐
무릎이 곪고 부은 발로
낙엽을 밟으며 사라졌다.
친척들 집에 자식들을 나누어 맡기고
며칠마다 둘러보던 어머니가 오빠를 찾아
정신 없이 폭탄이 떨어지는 빈 도시 집으로 가보니
오빠는 호두나무 밑에서 호두를 까먹고 있었다.
'12살 오빠와 호두나무와 쌀 한 가마'란 부제가 붙어 있는 차옥혜의 시 [밥]({시와 생명}, 2001. 겨울)의 전반부이다. 1945년 생 시인의 작품이므로 아마도 시 내용의 거의 전부가 사실에 근거한 것이지 싶다. 이 시에서 시적 기교라고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지난 일을 별다른 감정의 이입이 없이, 즉 담담히 술회하고 있을 뿐이다. 6․25를 만나 일가가 뿔뿔이 흩어진다. 열두 살 오빠는 시골 큰아버지 집으로 피난을 갔는데 큰아버지가 밥을 많이 먹는다고 소리치자 다시금 자기가 살던, "정신 없이 폭탄이 떨어지는 빈 도시 집"으로 돌아간다. 그 집에는 호두나무가 있었던가 보다.
어머니가 다시 큰집으로 데려가려 하자
오빠는 호두나무 위로 올라가 내려오지 않았다.
어머니는 하는 수 없이 전쟁터 집에 머물렀다.
얼마 후 12살 오빠는
국군들 잔심부름하는 소년병으로 지원하면
가족에게 쌀 한 가마 준다는 말에
어머니가 잠든 사이
얼어터진 발로 떨어진 고무신을 신고
눈을 밟으며 집을 떠났다.
제목과 부제를 다시 새긴다. 밥, 12살 오빠, 호두나무, 쌀 한 가마. 설움 받고 살기가 죽기보다 싫었던 소년, 가족이 얼마 동안 '밥'을 먹을 수 있다면 자신의 목숨을 내놓아도 좋다고 생각한 열두 살 소년의 마음이 심금을 울리는 바가 없다면 그 독자는 이 땅에서 살아갈 자격이 없다. 이 시에서 비유의 참신함이나 시적 형상화의 진경을 찾아볼 수 없다고 누가 수준 미달작이라고 말한다면 나는 그 말에 반대할 것이다. 시적 진정성은 소재의 특이함에서 나오기도 하지만 이 시처럼 주제의 힘에서 나오는 경우가 더 많다. 이런 감동은 흔히 받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열두 살 오빠의 착한 마음과 그 마음을 잘 이해하고 지금까지도 잊지 않고 있는 누이의 착한 마음이 '깨끗한 여운'을 남긴다. 아쉬운 것은 지나치게 진술로만 이루어져 있다는 것, 시의 마지막 6행은 문장이 다소 길어 답답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문학나무 2002년 7월호 수록>
'시에 대한 비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쓰러진 나무가 홀씨를 살려」 - 김석환 (0) | 2006.03.13 |
---|---|
「밥 -얼음 속에 갇힌 가랑잎」 - 조영미 (0) | 2006.03.12 |
「늙은 어머니를 고려장하고」 - 전원범 (0) | 2006.02.28 |
「마음의 눈으로」 - 윤동재 (0) | 2006.02.28 |
「에디아카란에게로 가는 길」 - 오철수 (0) | 2006.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