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의 눈과 귀로 보고 듣기

윤동재(시인, 고려대 강사)

 

    1.

잘 알다시피 헬렌 켈러는 삼중고(三重苦)의 성녀로 불려지고 있다. 헬렌 켈러는 태어난 지 열아홉 달 만에 열병을 앓아, 소경귀머거리벙어리가 되었다. 헬렌 켈러는 보이지도 들리지도 말할 수도 없는 신체조건에 낙망하지 않고 가정교사였던 설리번 선생의 살뜰한 교육을 받은 끝에, 장애인으로서는 세계 최초로 1900년 하버드대학교 래드클리프 칼리지에 입학하여, 1904년 우등생으로 졸업하였다. 이 때 마크 트웨인은 삼중고를 안고 마음의 힘, 정신의 힘으로 오늘의 영예를 차지하고도 아직 여유가 있다라고 아낌없는 찬사를 보냈다.

헬렌 켈러가 장애인이었으면서도 이렇게 할 수 있었던 것은, 그에게는 육체의 눈과 귀는 열리지 않았으나 마음의 눈과 귀가 열렸기 때문이었다. 곧 마음의 눈과 귀가 열리면 행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육체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육체의 귀로 세상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는 것만으로 충분히 행복할 수 있을까. 육체의 눈과 귀가 열렸다고 하더라도 마음의 눈과 귀까지 함께 열리지 않으면 참다운 의미로 행복하다고 할 수 없다.

육체의 눈과 귀만 열린 사람은 사물이나 세상살이를 살피면서, 스스로가 살핀 대로 자세히 묘사할 수는 있어도, 사물이나 세상살이에 내재한 그윽한 이치는 밝혀낼 수 없다. 그래서 육체의 눈과 귀가 열린 사람이나 열리지 않은 사람이나 가리지 않고, 바라건대 마음의 눈과 귀가 열리기를 꿈꾼다. 특히 시인은 육체의 눈과 귀로만 보고 듣는 데 머무르려고 하지 않는다. 시인은 마음의 눈과 귀로 사물이나 사람살이에 내재한 이치를 보려고 하고, 들으려 한다. 이 달에 발표된 시 가운데는 이 점을 확인해 주는 시가 몇 편 있어 눈길을 끈다. 이 달에는 이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살펴보는 일은 공연한 헛수고가 아니다.

 

  2.

화개장터에서 쌍계사 입구까지 벚꽃길은 누구나 한 번쯤 걸어 봤으면 하는 길이다. 수십년 벚꽃나무에 벚꽃이 핀 모습은 가히 환상적이다. 이 십리 벚꽃길은 일명 혼례길로 알려져 있다. 청춘남녀가 두 손을 꼭잡고 이 길을 걸으면 그해 꼭 결혼하게 된다고 해서 불려진 이름이다. 차옥혜 시인은 쌍계사 입구의 벚꽃길 만큼 유명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서울 시민들에게는 잘 알려진 남산의 벚꽃길을 거닐면서 만난 맹인 부부의 아름다운 모습을 잘 되살려 놓았다.

 

맹인 부부가 남산 중턱 산책길

벚꽃 아치 아래 벚꽃을 밟으며

팔짱을 끼고 소곤거리며 벚꽃 얼굴로 걷는다

 

그들은 마음의 눈으로

벚꽃 나라를 보고 있다.

사랑으로 지핀 마음의 꽃등을 앞세우고

서로서로 부축하며 서로서로 이끌며

캄캄한 세상을 밀쳐내며

벚꽃놀이를 하고 있다

 

엉켜 한 몸이 되어버린

맹인부부가 두 그루 벚나무가

시방

벚꽃을 피우며 벚꽃을 흩뿌리며

벚꽃 눈을 뜨고

벚꽃 사랑을 하고 있다

눈은 떴지만

마음의 눈이 없는

사람들 틈에서

차옥혜, 마음의 눈으로

 

맹인 부부에게 활짝 핀 벚꽃이 보이겠는가 하는 걱정은 육체의 눈으로만 세상을 보는 사람들의 부질없는 걱정일 뿐이다. 시 속의 맹인 부부는 육체의 눈이 보이지 않는다는 제약쯤은 일찌감치 벗어던졌다. 그들은 마음의 눈이 열려 있음으로 해서 누구보다도 세상의 변화를 잘 살필 수 있다. 그래서 그들은 누구보다도 먼저 벚꽃이 핀 사실을 알아차리고서는 벚꽃 구경을 나왔다. 맹인 부부의 얼굴에는 조금의 구김살도 없다. 시인은 그것을 벚꽃 얼굴이라고 했다. 맹인 부부의 얼굴이 벚꽃처럼 더할 나위 없이 화사하다는 뜻이리라. 이는 겉치레로 괜시리 한 번 입에 발린 소리로서의 미화법이 아니다. 안받침이 충분히 되고 있는 미화법이다.

두 번째 연에서 보면 맹인 부부들이 마음의 눈을 가질 수 있게 된 것은 서로 깊이깊이 사랑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맹인부부는 사랑으로 서로를 지피고 있다. , “서로서로 부축하며” “서로서로 이끌며살아가고 있다. 그러다 보니 캄캄한 세상마음의 꽃등을 앞세우고, 밀치며 나아갈 수 있다.

시인은 세 번째 연에서 벚꽃나무만 벚꽃을 피울 수 있는 게 아님을 말해준다. “엉켜 한 몸이 되면”, 누구나 벚꽃나무가 되어 벚꽃을 피울 수 있고, 벚꽃을 흩뿌릴 수 있다고 했다. 게다가 벚꽃 눈을 뜨고 벚꽃 사랑을 나눌 수 있다고 했다. 육체의 눈은 떴지만 마음의 눈을 뜨지 못한 사람은 벚꽃을 피울 수도 없고, 벚꽃을 흩뿌릴 수 없고, 벚꽃 사랑을 나눌 수 없는 데 비해서 말이다. 결국 시인은 마음의 눈을 뜬 맹인 부부를 통해서, 육체의 눈만 뜬 사람보다는 육체의 눈은 비록 뜨지 못했지만 마음의 눈을 뜬 사람이 오히려 더 아름답고 행복하다는 아름다운 진실을 말해 주고 있다. 차옥혜 시인은 마음의 눈을 가진 사람은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를 잘 보여주었다. 차옥혜 시인은 자기 자신의 삶이 아니라 다른 삶의 삶을 잘 보여주고 있다. 시인은 관찰자로서 머물고 있다.

중략

 

  3.

이 달에는 시인들이 마음의 눈과 귀로 보고 들은 것을 시로 어떻게 드러내고 있는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육체의 눈과 귀는 사물과 사람살이의 겉모습을 묘사하는 데는 어느 정도 쓰임새가 있을지 몰라도 사물과 사람살이에 내재한 이치를 드러내는 데는 턱없이 부족하다. 사물과 사람살이에 내재한 이치를 드러낸다든지, 구체적인 사물을 마음의 눈으로 살펴보면서, 스스로의 삶을 성찰하고 그 성찰된 결과를 다시 시로 드러내 보이기 위해서는 마음의 눈과 귀로 사물과 사람살이를 보고 듣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이 달에 살펴본 세 시인은 이 점에 대해서 누구보다 잘 인식하고 있는 듯이 보인다. 차옥혜 시인의 경우는 단순히 관찰자로서, 육체의 눈과 귀는 열리지 않았지만 마음의 눈과 귀가 열린 맹인 부부가 살아가는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 보여줌으로써 사람살이에 내재한 이치를 읽는 이들이 어렵지 않게 깨칠 수 있게 해 주었다.

신지혜 시인은 육체의 눈으로는 잘 들여다볼 수 없을 것 같은 물방울 하나 속을 마음의 눈으로 바라보면서 자기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방식이 어떤지 깨치고 있다. 신지혜 시인은 물방울 하나라는 매우 구체적인 사물을 마음의 눈으로 살펴보면서, 스스로의 삶을 성찰하고 그 성찰된 결과를 다시 시로 드러내 보이고 있다. 채호기 시인은 차옥혜, 신지혜 시인이 마음의 눈에 대해 성찰해 본 것과는 달리, 마음의 귀에 대한 성찰을 보여주고 있다.

채호기 시인은 수련의 꽃봉오리가 열리는 것을 눈으로 살피기보다는 귀로 살피고 있다. 이는 육체의 눈, 또는 마음의 눈으로 사물이나 사람살이에 내재한 이치를 살피려는 태도가 아니라 육체의 귀, 또는 마음의 귀로 사물이나 사람살이에 내재한 이치를 살피려는 태도이다.

세 시인이 각기 다른 방식으로 사물이나 사람살이에 대해서 살피고 있지만 결국은 마음의 눈과 귀로 사물이나 사람살이를 살펴 우리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하기 위해 힘썼다는 점은 한결같다. 세 시인만이 아니라 세상 모든 사람들도 마음의 눈과 귀로 사물과 사람살이에 대해 보고 들을 수 있도록 힘썼으면 좋겠다.

 

<문학과 창작 20025월호 194-203쪽 수록>

 

Posted by 차옥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