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닿을 수 있는 극단의 지대
송기환(문학평론가/ 대전대 교수)
시가 매력적인 것은 여러 이유가 있겠으나 그중 하나는 일상과 현실이 닿을 수 없는 데에까지 상상의 나래와 꿈을 펼칠 수 있다는 점일 것이다. 눈으로 읽히는 것도 아니고 경험으로 진술될 수 있는 것도 아니어서 순수한 상상과 사유, 순수 성찰만으로 시가 구성되는 경우가 그것일 터이다. 일상과의 접점이 있다면 그곳으로부터 멀리 떠나온 출발의 지점만이 남아 있을 것이다. 때문에 그러한 시는 현실로 통하는 출입구가 있되 그곳을 벗어난 너른 지대로 이어질 것이다. 그 지대는 도무지 일상에서 습득된 사유의 틀이 무연해져서 암중모색하듯 사유의 새로운 길을 더듬어 내야 하는 곳이다. 때로는 허우적거림과 때로는 망연함, 혹은 허공에 발 딛고 있는 듯한 공허함이 재배하는 것도 그 너른 지대의 속성일 것이다.
시인은 누가 끌어들이는 것도 아닌데, 그곳에 왜 속절없이 빠져 버리는 것일까. 그 무엇인가가 불쑥불쑥 자아를 강타하여 시인의 내면에 구멍을 내는 것이기라도 하는 것인가. 환상인 듯도 하고 초현실인 듯도 한 그곳을 향하는 시인의 몸짓에는 그러나 현실을 애써 부정하고자 하는 위악적 태도가 깃들어 있지 않다. 그것은 단지 자유에의 자연스러운 쏠림이고 초월을 향한 익숙한 지향이다. 따라서 이 지대를 그리는 시인들의 시선에는 머뭇거림이 없으며 이 지대 안에서 시인들은 거칠 것 없이 세계를 누린다. 이 지대는 자유의 공간이자 무한의 영역인 것이다.
일상의 시공간적 형질로부터 벗어나 있는 까닭에 이곳은 현실감이 없으며 이곳에서 피어나는 꿈과 상상은 질료로서 간주되기 힘들 것이다. 이곳의 꿈과 상상은 단지 잠시 눈앞에 펼쳐졌다 사라지는 신기루로서만 느껴질 것이다. 그러나 꿈과 상상의 힘은 현실에 육박하여 새로운 현실을 강제하기도 한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손에 잡히지 않는 꿈과 상상이 마치 현실의 시공간을 점유하기라도 하듯 일상 가운데에 부정할 수 없는 영역을 차지하는 것이다.
우리가 바로 아름다운 꿈과 상상을 길러 내야 하는 까닭도 여기에 있다. 현실의 적확하고 합리적인 인식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비현실적인 꿈과 상상 역시 올바르게 가꾸어져야 하는 것이다. 이것은 제어되지 않는 욕망의 무분별한 배설이나 무차별적인 무의식의 분출과 상관없는 것으로서, 훌륭한 시인들은 이에 대해 결코 무자각적이거나 무책임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 중략 …
언제나 가야 할, 가게 되어 있는 희망의 세계
달리고 달려온 대륙을 바다가 가로막는 곳
파도쳐 파도쳐온 바다를 절벽이 가로막는 곳
거기에 희망봉이 있다.
바다는 절벽을 기어올라야 희망봉에 오를 수 있고
땅은 바다에 빠져야 희망봉을 만날 수 있다.
두려움과 절망과 죽음을 무릅써야만
만날 수 있는 희망봉
적과 적이 덜컥 껴안아야만
만날 수 있는 희망봉
살아있는 한
포기 할 수 없는 곳
저절로 꿈꾸며 달려가는 곳
그러나 오늘도
바다는 끝없이 밀려와 절벽을 기어오르다 미끄러지고
땅은 끝없이 달려와 바다 앞에서 한숨 쉰다.
있으나 없는 희망봉
쓸쓸하고 영원한 오로라여
―차옥혜. <희망봉> 전문,《시문학》5월호
차옥혜 시인의 <희망봉>은 우리가 기대할 수 있는 꿈과 상상의 세계가 얼마나 커다란 모험에 의해 비로소 구해질 수 있는 것인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 곳은 ‘두려움과 절망과 죽음을 무릅써야만 만날 수 있’고 ‘적과 적이 덜컥 껴안아야만 만날 수 있’을 만큼 크나큰 결단을 요구하는 것이자 ‘바다는 절벽을 기어오’르고 ‘땅은 바다에 빠져야 도달할 수 있는 곳인 만큼 험난한 여정이 강제되는 곳이다. 아니 그러한 모험과 여정을 감내하고서라도 도달해야 하는 곳이 있는 것이다. 여하튼 그곳은 모든 어려움을 강요할 것이며 그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도달하는 것을 포기해서는 안
되는 곳이기도 하다. 그곳은 말 그대로 ’희망봉‘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러한 ’희망봉‘은 일상과 현실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꿈과 상상의 세계가 지닌 내포와 외연의 측면에서 일치한다. 시인이 말하듯’희망봉‘에 가 닿기 위해 겪어야 하는 험한 고난은 곧 우리가 꿈과 상상의 세계를 지키기 위해 감수해야 하는 어려움과 동일한 것이다. 그런 점에서 위의 시는 결국 꿈과 상상의 세계에 관한 이야기이고 꿈과 상상의 세계는 우리의 희망이자 유토피아가 되는 셈이다.
시인은 ‘희망봉’에 도달하기 위한 인간의 도저한 갈망과 의지를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거니와, 이러한 묘사에 의해 인간에게 있어 ‘희망봉’의 절실함이 더욱 부각된다 할 것이다. 또한 이것은 인간에게 꿈과 상상의 세계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역시 말해준다고 할 수 있다. 꿈과 상상의 세계는 곧 인간이 어떠한 경우에라도 지켜야 하는 궁극의 유토피아이다.
그렇다면 유토피아라는 점에서 ‘있으나 없’고 ‘쓸쓸하고 영원한’ 그곳에 도달하고자 하는 이들은 누구인가? 눈에 보이지도 않고 고독과 쓸쓸함을 견뎌야 하는 시련의 땅에 집착을 버리지 못하는 이는 누구일까? 그는 꿈과 상상의 가치와 힘을 알고 있는 자일 것이다. 그것을 알고 있으므로 어떤 고난과 두려움도 무릅쓸 준비가 되어 있는 이가 그들일 것이다. 우리가 꿈과 상상의 세계를 순수하게 그려 내는 데 무한한 정열을 보이는 시인에게 주목하게 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문학사상 2007년 6월호, 248-249쪽, 254-256 쪽 수록>
'시에 대한 비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법」 - 양병호 (0) | 2006.03.28 |
---|---|
「삼월에 내리는 눈」 - 이상옥 (0) | 2006.03.27 |
「하루가 천년이고 천년이 하루인 나라」 - 박이도 (0) | 2006.03.21 |
「누가 우리를 미치게 했는가」 - 조병옥 (0) | 2006.03.20 |
「우리 어머니는 시인」 - 정순진 (0) | 2006.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