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옥혜의 ‘하루가 천년이고 천년이 하루인 나라’
박이도 장로(시인, 전 경희대 교수)
연륜이 더해갈 수록 시심도 더욱 무르익어 가는 다산성의 시인이다. 필자는 차옥혜 시인의 시집 ‘흙바람 속으로’(96년)에서 보여 준 흙, 고향으로의 귀향의식이 특유의 모성애로 변주된 흙의 담론으로 진한 인상을 받은바 있다. 최근작 시집 ‘위험한 향나무를 버릴 수 없다’에서 믿음의 바탕에서 쓴 작품 한 편을 감상하자.
하루가 천년이고 천년이 하루인 나라
그 나라엔 시간이 없다네.
어제와 오늘과 내일이 없다네.
순간이 영원이고 영원이 순간인
그 나라엔 죽음도 없다네.
어린이도 젊은이도 노인도 없는
나이 없는 사람들이 살고 있다네.
사람들은 별처럼 빛나
서로서로 길을 밝혀준다네.
식물들은 나이테를 만들지 않고
동물들도 늙지 않고 싸우지 않는다네.
모두 공기만 먹고 살아도 건강하다네.
바위와 냇물과 식물과 동물이 사람과 말을 하고
사람과 함께 시를 읊고 노래를 한다네.
그 나라엔 돌아가신 어머니와 아버지가 살고 계시고
이 세상에서 아직 못 본 내 손자들도 있다네.
평화와 사랑만 있는
하루가 천년 같고 천년이 하루 같은
그 나라엔 시간이 없다네.
시인은 에덴동산 같은 천국을 꿈꾸고 있다. 시인은 천국의 영원한 삶을 노래한다. 이사야 선지자가 땅이나 나무나 혹은 해와 달을 의인화해서 천국의 삶을 비유한 문학적 표현이 연상된다.
시간 개념은 베드로가 예수님의 재림의 시기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 작품의 제목은 베드로 후서 3장 8절의 <사랑하는 자들아 주께는 하루가 천년 같고 천년이 하루 같은 이 한 가지를 잊지 말라>에서 따왔다. ‘시간이 없고’ ‘죽음도 없는 나라’는 곧 영원한 나라요 천국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시편 90편 2절에 <-영원부터 영원까지 주는 하나님이시니이다>라고 노래한 것처럼 차옥혜 시인도 영생의 날에 이르게 될 영원한 천국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한국문학’(84년) 신인상으로 등단. 시집‘깊고 먼 그 이름’ ‘흙바람 속으로’등 6권의 시집과 서사시집 ‘바람 바람꽃’(87년)이 있다.
<한국장로신문 2007.4.21.자 12쪽 수록>
'시에 대한 비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월에 내리는 눈」 - 이상옥 (0) | 2006.03.27 |
---|---|
「희망봉」 - 송기환 (0) | 2006.03.22 |
「누가 우리를 미치게 했는가」 - 조병옥 (0) | 2006.03.20 |
「우리 어머니는 시인」 - 정순진 (0) | 2006.03.19 |
「오아시스」 외 1편 - 정신재 (0) | 2006.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