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숨 위에 있는 깊고 먼 그 이름을 찾아서

  오철수(시인/문학평론가)

 

 

序詩 개구리

차옥혜

 

불 붙은 목으로

사무쳐 부르는 이름

부르는 이름에

신이 들려서

밤새도록

너는 부른다.

네 목숨 위에 있는

깊고 먼

그 이름을

 

목숨 위에 있는 깊고 먼 그 이름을 찾아서

-그것을 우리는 인생이라고 하던가요-

 

시인은 무엇인가.

밤낮 없이 개골개골 대는 개구리의 울음에서 불 붙은 목으로/사무쳐 부르는 이름을 생각하고, ‘네 목숨 위에 있는/깊고 먼/그 이름을 생각하는 시인은 정말 제 2의 창조주인가. 흙으로 빚은 사람 모양에 아담의 갈비뼈 하나를 꺼내 생명을 불어넣음으로서 창조했다는 창조주의 창조 행위를 저도 모르게 닮아버린 족속.

시인은 무엇인가.

저 혼자라면 그저 물질의 본능에 따라 시간과 공간 속으로 스며들어 자취도 없을 것들에 <의미라는 생명>을 불어넣고, 인간과 닮은 세계로 만드는 시인은 무엇인가. 진정 제 2의 창조주인가.

그러나 그 이 얼마나 외로운 사람이었으면, 얼마나 사무친 가슴 가진 사람이었으면 개골개골 밤낮 없는 그 울음에서 사무쳐 부르는 이름을 생각했으며 네 목숨 위에 있는/깊고 먼/그 이름을 떠올렸을까. 아니 그의 목에 불 붙었을까.

이런 생각을 하며 읽는 차옥혜 님의 서시개구리에서 저는 한 인간의 억누를 수 없는 갈구와 그에 신들려 가는 열창을 느낍니다. 왠지 전에 읽었던 잔디/잔디/금잔디/심심 산천에 붙는 불은/가신 님 무덤 가에 금잔디라는 김소월 님의 금잔디일 절을 듣는 듯.

개구리 울음 소리에 제 몸이 달았습니다.

부르는 이름에/신이 들려서/밤새도록 부르는 소리’, 시인의 마음도 그 울림 그대로 신이 들려서 밤새도록 부릅니다. 목에 불 붙었습니다. 심심산천에 불 붙 듯, 아아 이름을 부릅니다. 그 자체가 존재 이유이자 생명이 된, ‘네 목숨 위에 있는 깊고 먼/그 이름을부릅니다.

저는 지금 그 소리에 취해 있습니다. 온통 개골개골 거리는 소리, 그 자체가 존재 이유이자 생명인 소리(아마 그것을 추구한다하여 시인은 이 시를 서시라고 이름했나 봅니다.)

그래서 생각하게 되지요.

불 붙은 목으로/사무쳐 부르는 이름/부르는 이름에/신이 들려서/밤새도록부르는 행위의 것, 그것은 무엇일까. 내 한평생을 살아가며 그 자체가 나의 <존재 이유이자 생명>이어서 추구하는 그것은 무엇일까.

그런 사념에 빠져 있노라면, 그 먼 어디쯤에 이런 문구 하나가 마치 늦가을 감나무에 까치밥처럼 걸립니다.

<우리 본디의 모습을 한 우리--->

저는 이 시의 핵심이 바로 <자유를 만끽하고 있는 우리>에 대한 존재론적 갈구라고 생각합니다. ‘네 목숨 위에 있는/깊고 먼 /그 이름은 바로 <본디의 나>, 소외되지 않은 나, 그래서 자유를 만끽하고 있는 자유로운 나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모든 소외를 극복하고 완전히 발전된 인간과 그를 닮은 사회를 누리는 인간!

그렇습니다.

이 시는 그것을 부릅니다. 깜깜한 밤, 그 실존의 어둠 속에서 밤이 지새도록 지금의 존재를 존재이게 해주는 그 이름을 부르는 것입니다. 그 부름과 갈구가 멈추는 날 존재는 허물어지고, 물질의 법칙 속으로 소리 없이 사라져 갑니다. 그래서 부르는 이름에/ 신이 들려서부르는 것입니다. 그것도 다른 어디에 있는 무엇(절대자 같은 것)이 아닌, 바로 현재의 목숨 위에 있는/깊고 먼/그 이름입니다.

그래서 이 시를 온전히 이해하려면 목숨 위에 있는/깊고 먼/그 이름'에 대한 탐구가 필요하지요.

왜 하필 목숨 위에 있는/깊고 먼/그 이름인가? 하늘나라에 있는 그 이름일 수도 있고, 죽음일 수도 있는데, 왜 하필 네 목숨 위에 있는 깊고 먼/그 이름인가?(이 점은 이 시 자체로만 해석하기에는 상당한 억측이 따릅니다. 왜냐하면 그 개연성이 너무 넓고, 이 시는 단지 개구리 소리만을 형상한 것이 아닌 서시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 구절과 이 시를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 시 이후의 작품 경향에 도움을 받아야만 합니다.

그것을 다 읽어보지 않은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 그 경향을 소개하면 가장 최근에 나온 시집 발 아래 있는 하늘에 집약되어 있는 <현실에 대한 관심>입니다).

저는 그렇게 생각합니다.

한 존재가 자신을 성장시켜 나가는 힘은 그 자신 안에 있고, 그것도 오늘의 내가 일-사회적 활동-을 통해 획득한 내 모습의 반성적 인식과 새로운 실천-사회적 활동-을 통해 나를 성장시킨다고.

실재로 우리는 이런 과정을 통해 오늘의 나보다는 바람직한 내일의 나를 갖곤 합니다. 간단한 예로, 몇 천 년 전의 인간과 현재의 인간을 비교하면 이 말은 당연한 말이지요. 그래서 비록 오늘의 존재는 오늘의 사회적 규정성 속에 있는 존재이지만, 그 마음 속에 있는 존재는 그것을 넘어선 존재가 되는 것이죠.

이 때 그 마음 속에 있는 존재는 현재의 존재를 <지양-‘제거와 보존’>한 존재입니다. 따라서 그 상태는 지금과의 단절,-혹은 초월-이 아닌 연속성 속에 있는 것이지요(이 점이 중요한 것은 이후 시창작이 더 추상적인 절대자에 대한 갈구로 갈 것이냐, 아니면 더 나은 인간적 삶의 진전 속에서 신을 닮아갈 것이냐는 하는 문제와 결부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시인은 후자의 길을 택한 것 같습니다. ‘머리 위에 있는 하늘만 보고 산 나는/오늘 처음으로 발 아래 있는 하늘도/보았습니다./아니 발 아래 있는 하늘과/머리 위에 있는 하늘이/소중히 감싸고 있는/나를/당신을/보았습니다.’-발 아래 있는 하늘중에서).

저는 바로 이 지점에 목숨 위에 있는/깊고 먼/그 이름의 비밀을 일체 지웠으면 합니다. 즉 지금의 내가 지양된 존재라는 의미입니다.

좀더 편안하게 생각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모든 사람에게는 지금의 자신에게 만족하지 못하는 또 하나의 자신이 있습니다. <그 나>는 현실의 나 속에서 배태된 <>입니다. 현실을 살아가며 불만족스러웠던 내가 하나 둘 불만족의 껍데기를 벗겨 만족스러운 <>를 만들어 간 것이지요. 물론 그렇게 만들어진 <>는 현재의 <>가 만나야 할 <>인 것이죠. 경제적으로 어려워 소외되었던 사람은 그것으로부터 해방된 <>, 사회적으로 억눌렸던 사람은 그것으로부터 자유로운 <>, 그런 <>의 총체로서 현재의 <>속에 있는 또 다른 <>.

그것의 간절한 형상적 표현이 목숨 위에 있는/깊고 먼/그 이름인 것입니다, 즉 내 안에 있는 또 다른 <>이고, <>는 현재의 나를 지양한 <>이기 때문에 깊고 먼’ <>입니다(우리는 그런 <>를 소외되지 않은 자유로운 인간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또 삶-인생-이라는 것은 현재의 내가 그런 자유로운 나를 찾아가는 행위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때문에 이 시는 그 점이 인식되고, 이제쯤 그 갈구를 느끼는 상태에서 쓰여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도 이 시가 쓰여질 수 있었던 것은 개구리 울음 속에서 이런 존재론적 갈구를 감동의 자리로 가졌을 때였을 테이니까요.

그래서 이런 갈구는 무통분만일 수 없습니다.

아주 충분한 갈구의 내적 조건을 가져야만 합니다. <나 속에 있는 나를>, ‘네 목숨 위에 있는/깊고 먼/그 이름을 지금 여기에서 이처럼(‘불 붙은 목으로/사무쳐’, ‘신이 들려서’)부르도록 했던 이유를 말입니다(특히 편폭이 짧은 서정시에서는 서정의 힘으로). 예를 들어, 현실 속의 자신의 모습에서나 이웃의 모습에서, 그것도 가장 부자유한, 손상된, 말 그대로 소외된 인간의 모습을 보고 느끼는 속에서 이런 서정을 응축했을 법한.

 

웃으려는데

어인 일일까

반쪽 얼굴은 웃고

반쪽은 무표정하다.

말하려는데

한쪽 입술은 움직이고

다른 쪽은 가만히 있으니

바람이 샌다.

 

내게 두 사람이 있어

한 사람은 좁은 길로

다른 사람은 큰 길로

가려고 한다

한 사람은 빈 밥 그릇을

다른 사람은 가득 찬 밥 그릇을

풍성한 것이라고 고집한다

-안면마비중에서

 

그런 일단을 느끼게 해주는 소외의 다른 표현이지요(이런 현실의 모습은 서시가 실린 깊고 먼 그 이름이후 비로 오는 그 사람, 발 아래 있는 하늘에서 보다 적극적인 형상화를 이룹니다).

바로 이런 인식에 바탕하여 소외 속에서 소외되지 않는 인간의 모습에 대한 갈구, ‘목숨 위에 있는/깊고 먼/그 이름이 생성되는 것입니다. 생각해 보십시오. 얼마나 절박했으면 불붙은 목으로/사무쳐 부르는 이름이라고, ‘부르는 이름에/신이 들려서/밤새도록부르는 이름이라고 했겠습니까.

그래서 이 시를 읽노라면, 나도 모르게 내 목숨 위에 있는/깊고 먼/그 이름으로의 나를 생각해 보게 됩니다. 정말이지 길지도 짧지도 않은 육십 평생, <나는 무엇을 추구하며 살았던가?>, <나는 진정 자유로운 나를 만나기 위해 성실한 실천을 해왔는가? 적어도 시인처럼 불 붙은 목으로/사무쳐’ ‘신들려/밤새도록나는 행동해 왔는가?>, <내 목숨 위에 있는 깊고 먼 자유로운 나를 찾기 위해 열성이었는가? 아아 나는 그런 것도 없이 생활이라는 중량에 눌려 현실의 노예로 살지는 않았던가?>

그래서 이 시를 읽노라면 내 목숨 위에 있는/깊고 먼/그 이름이 생각납니다. 그런 자유로운 내가 살아가는 그 세상이 그리워집니다. 역사학자에 따르면 <자연적 실재의 단계사회발전의 단계자유의 단계>로도, <인간 본질의 소외 단계소외 극복 단계역사의 목표인 진정한 사회 단계>로도, <인간의 자연상태비인간화인간화의 단계>로도 표현되는 그 마지막 단계이기도 한 그 세상.

혹 그 세상은 고은 시인이 이 얼마나 무중력감을 동반하는 돌연한 세계 개편의 염원인가라고 평했던

 

바위산이 무너져 누웠다

 

차돌맹이 나도

자갈인 너도

부서져 부서져

조개와 게들이 집을 짓고

소라가 소리치고

물새가 알을 묻는

모랫벌 되자

―「모랫벌중에서

 

는 아닐까. 목숨 위에 있는/깊고 먼/그 이름이 살고 있는 세상.

그래서 이 시를 읽노라면, 오늘도 그 세상에 살고 있는 나를 만나기 위해 불 붙은 목으로/사무쳐 부르며 달려가는 거대한 인간의 춤, 실존의 춤이 보입니다.

네 목숨 위에 있는/깊고 먼/그 이름을찾는 사람들, 찾아가는 사람들. 그것을 우리는 사람 세상의 인생이라고 하던가요.

이상이 제가 읽은 차옥혜 님의 서시개구리입니다.

끝으로 시인의 시중에서 아주 오랫동안 지워지지 않은 기억으로 남는 슬프고도 아름다운 시 한편을 읽으며 글을 맺을까 합니다.

 

구로공단에 취직한 딸이

기계에 손가락이 잘려

영등포 어느 병원 응급실에 있다는

전화를 받고

점례 네 엄마는

마당에 쓰러져

어서 가야 하는데 어서 가야 하는데

정신 없이 중얼거리기만 해

용길이네 할아버지가 경운기에 태워

버스길까지 데려다 줬는데

몇 발짝 사이로

한 시간에 한 번 읍내로 가는 버스를 놓치고

길섶에 주저앉아

어쩔거나 어쩔거나 신음소리 내며

애꿎은 당신만 두 손으로 탕탕 치다

산당화가 되었습니다.

-흙을 향한 노래-산당화전문

 

 

  <내마음이 다 화사해지는 시읽기1995, 34-43쪽 수록> 

Posted by 차옥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