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 전염 2

시 -4 2021. 5. 10. 17:40

눈물 전염 2

                                         차옥혜

 

대구에 코로나19 확진자 수천 명 발생
의료진과 병상이 모자라자
자원하여 몰려가는 의료진 중엔
결혼 1년차 간호원!
정년을 앞둔 보건대학원 교수!
전남 광주시 등에선 병상과 치료를 제공!
의료용품, 성금, 위로 편지를 보내는 사람들!
의료진과 자원봉사자들 위해서
여기저기서 갈비탕, 백숙, 비빔밥을
진도군 주민들은 농사지은 봄동을
인천의 어느 외식기업에선 도시락 1만개를
보내고
전국 곳곳에서 부족한 마스크를 손수 만들어
홀몸노인과 장애인 가정에 배포하는 사람들!
마스크 공장에 가서 일손을 돕는 사람들!
창원 음식물처리장 직원 13명은
쓰레기 대란을 막기 위해
확진자가 더 이상 나오지 않을 때까지
감염이 되어 일 못하는 일 없도록
스스로 고립되어 회사 좁은 합숙소에서
먹고 자며 일하고⸱⸱⸱⸱⸱⸱

 

                                       <시와산문 2020년 여름호>

 

'시 -4'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동하는 소녀 참 시인 그레타 툰베리  (0) 2021.05.17
일하다가 죽지 않을 권리  (0) 2021.05.12
연뿌리 4  (0) 2021.05.07
사람만은  (0) 2021.04.30
나는 말의 순례자  (0) 2021.04.30
Posted by 차옥혜
,

연뿌리 4

시 -4 2021. 5. 7. 19:22

연뿌리 4

                                   차옥혜

줄기, 잎, 꽃, 연밥은
겨울을 건너지 못하지만
나는 순조롭게 건너 해마다
새 줄기, 잎, 꽃, 연밥을 낳아
봄, 여름, 가을을 아름답게 수놓습니다
감옥인 줄 안 진흙구덩이와 연못이
오히려 나를 지키고 보호하는
나를 먹이고 기르며 살리는
신의 품입니다
눈이 내리고 연못이 꽁꽁 얼어도
나는 멀쩡하게 편히 누워
새 봄을 준비합니다
투박하고 못 생긴 나를
언제나 꼭 껴안아주는
진구렁은
아무리 가물어도
나를 목마르지 않게
흠뻑 적셔주는
연못은
사랑이고 축복입니다

은혜의 순환 없이
어찌 세상이고 생명이겠습니까
어느 날 사람의 몸을 지날 때
연꽃등을 켜 어둠을 거두겠습니다

 

 

'시 -4'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하다가 죽지 않을 권리  (0) 2021.05.12
눈물 전염 2  (0) 2021.05.10
사람만은  (0) 2021.04.30
나는 말의 순례자  (0) 2021.04.30
초록빛  (0) 2021.03.06
Posted by 차옥혜
,

차옥혜 시집    『말의 순례자』

                                                                                              정유준(시인)

  세계 제2차 대전을 무대로 한 킹스 스피치라는 영화가 있다. 독일공군의 대규모 공습으로 위기에 놓이자, 말더듬이 국왕 조지 6세가 각고의 노력 끝에 라디오를 통해 명연설을 남긴다. 절박한 순간의 진정성이 영국 사회를 감동의 단결로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는 줄거리이다. 말을 잘 하는 것과 잘 말하는 것은 전혀 다른 의미일 수 있다. 지식과 지혜의 차이처럼 시인에게 있어서도 말을 잘한다는 것은 어쩌면 쉽게 시를 쓴다는 것과 조금은 비슷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시는 감동의 언어이며 성찰의 언어이기에 말을 잘하는 것보다 잘 말을 해야 맛이 난다.

  차옥혜 시인은 시집 말의 순례자첫머리에 우주에서 빛나는 별들의 근원과 신비를 찾아가는 말의 순례자로서 진실, 생명, 평화, 사랑이 담긴 말을 찾는 것을 기뻐하겠다.”-고 했다. 태어나 말을 배우고, 자라고, 말로 살고 있으니 참말만을 하는 절제된 자세로 시를 쓰고자 하는 마음가짐이 아니겠는가. 자연에서 서정을 발견하고자 하는 시인의 시는 현실의 고단함과 신산함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생명력을 지닌 아름다움과 온기로 시월 햇빛 밝은 길에 내가 있다, 마른 수국 꽃, 남색, 쌓아둔 책을 버리며, 쑥국을 먹으며, 74편의 작품들에서 진정성과 시어(詩語)의 선택을 고민한 흔적이 보인다. 자연과 인간의 내밀한 관계에 대한 시의 정신은 정갈하고 정직해야 한다. 어떻게 사유하고 어떻게 언어로 표현하는지는 시인의 몫이다. 이 시대의 진정한 시인이라면 누구나 성지를 답사하는 순례자처럼 말의 형상화에 있어 첨삭의 심판자이자 구도자의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평론가 이승원(서울여대 명예교수)태초의 창조는 말에서 비롯되었다. 새로운 사물이 창조되면 그에 대해 이름을 붙였고 말로 지시하면 그것대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말은 창조의 도구이자 동력이고 사람들은 마음에 일어나는 생각을 말로 발성하게 된 그것이 시의 원형이 아니겠는가. 차옥혜 시인의 언어에 대한 헌신적 자세, 자연을 통한 내면의 표현, 이 두 측면에서 시의 본질 탐구에 주력한 시인임을 알 수 있다.“-고했다.

  시집 깊고 먼 그 이름, 바로 오는 그 사람, 흙바람 속으로, 아름다운 독, 위험한 향나무를 버릴 수 없다, 허공에 싹트다, 식물 글자로 시를 쓰다, 날마다 되돌아가고 있는 고향은, 씨앗의 노래, 시선집 그 흔들림 속에 가득한 하늘등에 이어 13번째 시집이다. 시집숲 거울2016년 세종도서문학나눔에 선정되었다.

                                                                                                                            『시문학』 2021년 5월호 195〜196

Posted by 차옥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