괭이밥

                                    허형만

 

세상의 가장 낮은 곳에서

땅을 기어보았느냐

 

그 누구도 눈길 주지 않는

이 후미진 땅이 하늘이라면

한 목숨 바쳐 함께 길 수 있겠느냐

 

기다가 기다가

결국 온몸을 놓아버린 자리에서

키 작은 꽃 하나

등불처럼 매단다면 곧이듣겠느냐

 

 【감상】  “세상의 가장 낮은 곳”을 “기다가 기다가”도  “등불”같은 꽃을 매다는 삶!  삶에 이런 희망과 신비가 없다면 우리가 어떻게 하루인들 살아갈 수 있겠습니까?

 

'타인의 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너무 그러지 마시어요 - 나태주  (0) 2009.07.01
아내의 종종걸음 - 고증식  (0) 2009.07.01
노래의 지붕 - 김명인  (0) 2009.07.01
주정공장에서 - 김경훈  (0) 2009.07.01
놀란 강 - 공광규  (0) 2009.07.01
Posted by 차옥혜
,

    노래의 지붕

                                 김명인

 

집 짓던 인부들 집은 안 짓고

콘크리트 다져 넣은 슬래부 구조물 안에 틀어박혀

노래로 지붕을 얹고 있다 비닐로 덮어씌운

기둥 안쪽으로는 비 들이치지 않는지

쓰고도 남는 목청들 빗소리에 섞고 있다

낡은 가사로 골조를 세우면 얼기설기 줄거리는

일생을 꾸리고도 남는데

두껍고 두꺼운 오늘의 구름장은 언제 치우나

벽돌도 안 쌓고 인부들

대낮부터 빗속에서 지붕만 얹고 있다

얽어도 얽어도 씻겨 내리는 노래의 지붕!

폐인트 통 두드리는 엇박자 빗소리가

후렴에도 걸쳤다가 맨홀 틈새로 스며든다

 

  【감상】 비가 와서 잠시 쉬며 노래로 지붕을 얹고 있는 집 짓던 인부들! 시의 프리즘을 통하면 고단한 삶도 이렇게 아름답고 환하다.

 

'타인의 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내의 종종걸음 - 고증식  (0) 2009.07.01
괭이밥 - 허형만  (0) 2009.07.01
주정공장에서 - 김경훈  (0) 2009.07.01
놀란 강 - 공광규  (0) 2009.07.01
그림자 - 양정자  (0) 2009.07.01
Posted by 차옥혜
,

   주정공장*에서

                                                                김경훈

 

- 주정공장에서 군인들은 임신부였던 어머니를 눕혀 놓고 배 위에 나무 널판을 깔아 널뛰기를 했다

 

아부 그라이브나 죽음의 관타나모 수용소에서조차 미처 생각지 못했던 전혀 새로운 기술이다

미 국방장관 럼스펠드가 알았더라면 쌍수 들고 환영했을 기상천외한 수법이다

고문은 그들에게 있어 기술이고 또한 유희였지만, 그들은 인간이 아니었다 고문을 당하는 자나 고문을 자행하는 자나 더더욱 그것을 교사한 자들은

 

- 모진 고문에도 불구하고 태어난 아들은 50여 년 후 주정공장 진혼제의사회를 맡았다

 

* 주정공장은 제주시 산지부두에 있었던 건물로 송승문씨의 부모 등 4.3 당시 많은 수의 제주도민들이 여기에 수용되어 고초를 겪었다.

 

  【감상】 제주도 김경훈 시인은 제주 4.3의 이야기를 살아남은 사람들의 증언을 통해 시집 "눈물 밥 한숨 잉걸"에 사실대로 기록했다. 시인과 시집에 고개 숙인다. 역사는 기억을 통해서 발전한다고 한다. 

 

'타인의 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괭이밥 - 허형만  (0) 2009.07.01
노래의 지붕 - 김명인  (0) 2009.07.01
놀란 강 - 공광규  (0) 2009.07.01
그림자 - 양정자  (0) 2009.07.01
기도 - 안도현  (0) 2009.07.01
Posted by 차옥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