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그 쓸쓸한 여정에 대하여
양병호(시인/문학평론가/전북대교수)
온전한 너를 만나기 위해선
네가 뒤집어쓴 호두껍질을
알맞게 균열을 내어 벗겨내야 한다.
너무 세게 힘을 주면
너는 바스라지고
힘을 조금 주면
너는 껍질을 벗지 못하고
상처만 입는다.
껍질을 쓴 너를 붙잡고
너에게 하늘을 열어줄
가장 적절한 힘을 찾는
내 손에 쥐가 난다.
-차옥혜 「사랑법」
이 작품은 살아가면서 그 어느 누구도 비켜갈 수 없는 사랑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예컨대 사랑의 역학관계에 대해 형상화하고 있다. 이 작품에 따르면 인생은 사랑인 것이다. 인생을 살아내면서 통과의례에 해당하는 사랑에 전염되지 않는 인간은 없을 것이다. 그 사랑을 가꾸고 진행하면서 마침내 완성하는 방법론에 대해 이 시는 말하고 있다.
사랑의 상상력은 사랑의상대를 ‘호두’로 치환하여 인지하는 데서 출발하고 있다. 사랑하는 상대는 마치 호두처럼 단단한 껍질로 그 본질적 속성을 감싸고 있는 존재이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상대로부터 사랑의 본질적 속성을 드러내게 하는 ‘나’의 행동역학이다. 그 행동역학의 규정 혹은 사랑법은 ‘알맞게 균열을 벗겨내’는 것이다. 역으로 말하면 사랑하는 상대의 본질을 드러내는데 중요한 것은 상대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나’에게 있는 것이다. ‘나’의 ‘힘’을 다스리는 방법에 따라 상대는 ‘상처’를 입거나 아니면 본질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그 사랑의 역학을 위하여, 즉 ‘너’의 사랑의 본질을 드러낼 ‘가장 적절한 힘’을 찾기 위하여 ‘내 손에 쥐가 나’는 것이다. 사랑에 대처하는 화자 ‘나’의 자세가 상대의 태도에 앞서 중요함을 이 시는 역설하고 있다. 사랑은 적절한 힘을 가하여 ‘호두’를 까듯 정성스럽게 강약을 조절하여 다루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사랑법은 인생을 살아가면서는 무수한 시행착오를 겪는다. 그리고 그 사랑이 시간이 지나고 난 뒤 마침내 ‘너에게 하늘을 열어줄 힘’을 조절하고 균형잡는 경지에 도달한다. 그러나 그 때는 이미 사랑의 대상과 열정이 사라지고 없는 참담한 비극적 상황에 직면한다.
<시문학 2009년 1월호 78-79쪽 수록>
'시에 대한 비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머니와 꿩과 불명열」 외 1편 - 전원범 (0) | 2013.03.02 |
---|---|
「선인장 꽃을 순례하다」 외 2편 - 이향아 (0) | 2006.04.07 |
「삼월에 내리는 눈」 - 이상옥 (0) | 2006.03.27 |
「희망봉」 - 송기환 (0) | 2006.03.22 |
「하루가 천년이고 천년이 하루인 나라」 - 박이도 (0) | 2006.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