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을 바라보는 다층적 시선

                                                                                               박애송

  삶을 들여다보는 방식은 저마다 다르다. 자연에 빗대어, 사회현상에 비추어, 음악이나 미술작품을 통해 각각의 삶을 들여다보기도 한다. 시 작품을 통해 들여다본 삶에는 인간의 다양한 모습들이 담겨 있다. 이러한 다층적 시선은 독자로 하여금 사건에 대해 보다 더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보고 듣는 사람의 시각이 다양하기 때문에 한 가지의 상황과 사건일지라도 다양한 주제적 측면에서 보여줄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긴장감도 증가한다.

팔십일억명 넘는 세계 사람들 내뿜는 탄소로
지구 내 몸 점점 더 뜨거워져 기후 위기에 직면

나 지구가 우주에서
가장 신선하고 아름다운 행성이던 때 그리워
풀과 나무는 먼지 한 점 없는 잎새 반짝이고
사람, 짐승, 곤충 맑은 공기 마시며
푸른 하늘 눈에 담았지
물고기 떼 깨끗한 물속에서 사랑 나누었지

사람들 무분별한 개발로 숲 점점 사라져
문명의 이기가 쏟아내는 열기에
빙하 녹아 전염병 돌아 폭염 가뭄 산불로
강물 말라 짐승과 물고기 죽어가
폭설로 집 묻혀 홍수로 밭 잠겨 흉년들어
사람이 쏟아내는 쓰레기로 땅 바다 썩어
미세플라스틱에 오염된 모유 먹은 아기
비만과 뇌 발달 이상에 시달려
전쟁, 분쟁, 테러, 재난 끊임없어
나 지구는 아수라장 맥없이 무너져 가

나 지구의 희망 꿈 미래
캄캄한 밤에 갇혔다
인류여 인류여

                                                                         -차옥혜, 인류세전문

   차옥혜 시인이 삶을 들여다보는 방식은 따뜻하다. 그리고 현재 상황에 대해 우려를 표한다. 인간과 자연은 서로 상생을 이루며 살아가기 마련이다. 인간이 자연의 우위에 있는 것이 아니다. 이를 간과하고 자연을 지배하려 들었던 인간은 최근 급격하게 변화해 가는 자연 앞에서 망연자실할 수밖에 없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한쪽에서는 급격하게 온도가 올라가고. 지구의 건너편에서는 태풍이 몰려오는 현상이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또한 앞으로 다가올 재앙에 대해서도 걱정해야 할 상황이 되어버렸다. 차옥혜 시인은 이러한 현상에 대한 근심과 걱정의 마음을 이 시에 담아 전하고 있다.  
 인류세(人類世)는 네델란드의 화학자인 크뤼천이 제안한 용어이다. 인간의 활동이 자연환경에 유의미한 변화를 초래하였지만, 그 결과 자연의 무분별한 훼손으로 생태계가 파괴되었다. 미세플라스틱, 방사능, 지구 온난화, 해양 오염 등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 문제로 돌아오게 되었다. 이에 인류의 산업 활동으로 인하여 극심하게 변화해 가는 지구의 환경을 인식하고 이를 인류세라 칭하여 지질시대에 포함시키고자 제안한 것이다. 이후 인류세는 현재 환경 문제로 인한 지구의 위기를 상징하는 표현으로 불리고 있다.
  올해 초 국제층서학위원회(Ics) 산하 소위원회에서 인류세라는 공식 용어 채택이 기각된 일이 있었다. 기각된 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중요한 것은 공식 용어로 채택이 되지 못하였다고 하더라도 여전히 인류세는 사회적 차원에서도 생태학적 차원에서도 중요 용어일 것이라는 점이다. 20243월 기준 세계 인구는 약 81억 명이라고 한다. 실제 이 81억 명의 사람들이 하루에 내뿜는 탄소의 양은 얼마나 될까. 이를 생각해 본다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풀어야 할 과제인 점은 분명하다.
  시인은 우주에서 지구가 가장 신선하고 아름다운 행성이던 때 그리워한다. 공기에는 먼지 한 점 없고 식물들은 반짝이며, 사람이나 짐승, 곤충 모두가 맑은 공기를 마시던 때. 하늘은 푸르고 물고기는 깨끗한 물속에서 사랑 나누던 때는 점점 잊혀 가는 풍경이 되어가고 있다. 사람들의 무분별한 개발로 숲이 점점 사라져가고 문명의 이기가 쏟아내는 열기에모든 환경이 바뀌어 가고 있다. 빙하는 녹아내리고, 곳곳에 전염병이 돌아 무고한 사람들이 죽어가고 폭염과 가뭄, 산불, 폭설과 홍수로 곳곳에서 아우성이다. 심지어 사람이 쏟아내는 쓰레기로 땅 바다썩어가고 있고 미세플라스틱에 오염된 모유 먹은 아기비만과 뇌 발달 이상등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전 세계는 전쟁과 분쟁, 테러와 재난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결국 지구는 아수라장 맥없이 무너져 가로 있다. 이에 시인은 지구의 희망 꿈 미래캄캄한 밤에 갇혀 있게 된 원인을 제공한 인류에 대해 경각심을 주고자 한다.

*** 백애송: 2016시와문화에서 시, 시와 시학에서 평론 당선.   현재 광주대학교 초빙교수.

                                    <시와 산문, 2024년 가을호, 지난 호 좋은 시 다시 읽기, 306309쪽> 

 

Posted by 차옥혜
,

산문 2024. 8. 24. 15:44

                                                                  차옥혜

 

                                                    

머리채는 하늘에 잡히고

발목은 땅에 묶여

빛과 어둠의 채찍을 번갈아 맞으며

둥둥둥 울고 있는 북아

뿌리쳐라

하늘과 땅을 뿌리쳐

 뜻대로 굴러

네 울음 울어라

 

  둥둥둥, 둥둥둥, 북이 운다. 땅과 하늘이 후려치는 북채를 맞으며 북이 운다
  사람이 운다. 전쟁, 재난, 분쟁, 테러에 사람들이 쓰러진다.
  지구가 운다. 사람들이 문명의 이기로 쏟아낸 과다 탄소로 지구 몸 뜨거워져, 빙하 녹아 기후 위기 초래. 지금까지 본 일 없는 폭풍, 회오리, 산불, 불볕, 가뭄, 폭설, 홍수, 냉해, 강추위로 지구 곳곳이 아수라장이다. 전염병 돌아 사람들 떼로 비명횡사한다.
  여기저기 세계전쟁터에서 여성과 어린이들이 대부분인 무고한 민간인들이 미사일, 장갑차, 폭탄 장착한 드론, 인공지능 표적시스템 총에 무더기로 몰살당하고 있다.
  미친 사람들의 어처구니없는 테러로 무관한 사람들이 길에서 쓰러진다. 심지어는 부모들의 학대로 죽는 어린이도 있다. 사람뿐만 아니라 뭇 생명과 지구가 북처럼 뜻밖의 북채 맞아 울고 있다. 부서지고 있다, 사라지고 있다.
  헤르만 헷세는 소설 데미안맨 앞장에 나는 정말 나 자신으로부터 저절로 우러나오는 인생을 살려고 했을 뿐이다. 그런데 그것이 왜 그렇게도 어려웠던가?”라고 썼다.
  그렇다. 사람은 누구나 제 마음으로부터 우러나오는 눈물을 흘리고 노래 부르며 살 천부의 자유와 권리를 지니고 태어난다. 그런데 얼마나 많은 사람이 자신의 의지에 상관없이 처해있는 환경과 뜻밖의 폭력에 시달리며 생명까지 잃는가.
  북아! 사람아! 모든 생명아! 자연아! 지구야! 삼라만상아! 온갖 부당한 북채를 뿌리치고 네 울음 울어라. 평화와 희망 서린 실존의 기쁨을 울어라, 그리움, 사랑, 자유를 노래하라.

                                                                                     <文學의 집 서울, 2024년 7월호>

Posted by 차옥혜
,

상처 없이 어찌 하늘을 보랴                                                    

                                                                차옥혜

 

순수 돌에 불순물이 섞여
다이아몬드, 사파이어, 루비…… 되고
마디마디 가지 잘려 휘어진 소나무가
곧은 소나무보다 운치 있다고
더 잘 팔리고
조개는 상처에 진주를 슨다

그대여 상처를 가리며 울지 말아라
우리가 비탈에 뿌리내려
미친바람과 장대비에 시달리면서
상처 없이 어찌 하늘을 보랴

먼지가 묻고 찢겼어도
휘날리는 깃발은 아름답다

                                       

                                                                 <기독교문학, 1999년 기독교문인회 사화집>

'시 -5' 카테고리의 다른 글

  (0) 2025.01.04
어둠에서 어둠으로 빛나는  (0) 2024.10.01
힌두의 홀  (0) 2024.06.30
  (0) 2024.06.01
오월 숲  (0) 2024.05.30
Posted by 차옥혜
,